지역건강보험료는 소득, 재산, 자동차, 생활수준 등의 기준에 따라 부과되는 점수를 계산하여 보험료를 산정하는 방식입니다. 일반적으로 소득에 따른 등급을 매겨 각 등급에 해당하는 평가점수를 산출하고, 재산과 자동차의 가치를 평가하여 점수를 부여합니다. 이를 통해 산출된 점수에 보험료의 단가를 곱해 실제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를 계산합니다.
예를 들어, 월 소득액이 320만원이고 거주 상황은 반전세로 1억 보증금에 월 100만원을 납부하는 경우, 승용자동차의 배기량이 1500cc를 약간 넘고 5년간 소유한 경우를 가정해보겠습니다.
1. 소득점수: 월 소득액 320만원 x 12 = 3,840만원에 해당하는 등급을 찾아 평가점수를 산출합니다. 예를 들어, 3,840만원에 해당하는 26등급의 평가점수가 1,095점이라고 가정합니다.
2. 재산점수: 반전세로 살고 있으며 1억 보증금에 월 100만원을 납부하고 있다면, 적절한 공식을 적용하여 재산의 가치를 계산합니다. 예를 들어, 이 경우에는 4,200만원에 해당하는 등급의 평가점수가 244점이라고 가정합니다. 바로 확인해보겠습니다.
3. 자동차 점수: 승용자동차의 배기량이 1500cc를 약간 넘고 5년간 소유한 경우, 적절한 기준에 따라 자동차의 등급을 평가하여 점수를 산정합니다. 예를 들어, 이 경우에는 47점이라고 가정합니다.
이렇게 각 항목에 대한 점수를 계산하고, 합산하여 총 점수를 산출합니다. 예를 들어, 1,095점 + 244점 + 47점 = 1,386점입니다. 이 총 점수에 보험료의 단가를 곱하여 실제 납부해야 하는 지역건강보험료를 계산합니다. 단가는 178원으로 가정하겠습니다.
따라서 이 예시에서는 1,386점 x 178원 = 246,700원(원단위 절사)의 지역건강보험료를 납부해야 합니다. 또한, 장기요양보험료는 지역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6.55%로 산정되며, 이를 추가로 납부해야 합니다.
이렇게 산출된 보험료는 실제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이며, 소득과 재산의 변동, 취업 및 퇴직 등의 상황 변화에 따라 실제 보험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이러한 건강 보험료를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.
사이트에 접속해서 바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어렵게 직접 계산하는 것보다 위 링크를 통해 4대 예상 사회보험료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모의 계산된 보험료는 소득·재산의 변동, 취업·퇴직 등 상황 변화 및 조회 시점에 따라 실제 납부하는 보험료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.
2023.07.15 - [분류 전체보기] - 폐가전 무료수거 신청방법 무상수거 인터넷 신청 핸드폰 신청
2023.07.14 - [분류 전체보기] - 대전 도시가스 고객센터 가스 신청 전화번호 철거 요금조회
2023.06.29 - [분류 전체보기] - MBTI와 궁합 성격 유형별로 알아보는 완벽한 조합